전체 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mixed content error https 사이트에서 http 사이트로 요청할 때 발생하는 보안 문제 (http에서 https로 요청할때는 발생하지 않음) 예전에 프로젝트 개발할때 https 사이트에서 http를 요청해서 mixed error가 발생했다. http를 https로 바꾸면 해결될 문제지만 그 사이트가 우리쪽 사이트가 아니었고, https로 할 수 없다고 해서 https 사이트(우리 사이트)와 http(다른 사이트) 사이에 프록시 서버를 따로 만들어서 해결했다. istio와 isito의 구조 istio는 2017년 5월에 google, Lyft, IBM사에서 내놓은 오픈소스 서비스 메쉬 솔루션으로 마이크로서비스 간 데이터 공유를 제어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istio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헬스 체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가능 서비스 디스커버리란?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호출할 때 서비스의 위치(IP와 port)를 알아낼 수 있는 기능 트래픽을 관리한다. HTTP, gRPC, WebSocket, TCP 트래픽에 대한 자동부하분산이 가능하다. 서비스의 재시도횟수를 통제할 수 있고, 호출했을때 일정시간 이상 응답이 오지 않으면 error 처리를 할 수 있고 (timeout 가능) Circuit breaker가 가능하다. (circuit breaker : 특정 서비스에 오류 발생시 오랫.. 서비스 메쉬(Service Mesh)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을 핵심 기능으로 분할한다. 각 기능을 서비스라고 부르며,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다. 모놀리틱이 DB, UI, 비즈니스 로직등을 하나의 서버에서 구축했다면, 마이크로 서비스는 기능별로 각각의 서버에서 개발하는 방식이다 마이크로 서비스를 사용하면 서비스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여러 언어,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 단위로 개발되기 때문에 새로 들어온 개발자가 기능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독립적이기 때문에 한 부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가 다운되지 않는다. 개발 주기가 단축되기 때문에 빠른 출시가 가능하다. 모놀리식에 비해 규모가 작아졌기 때문에 배포가 빨라진다. 하지만 독립된 서비스들이 점점 많아진다면 트랜잭션 관리나 장애 추적, 테스트 등이 .. 이전 1 다음